Skip to main content

[독일]전O지_ University of Hamburg_ 2024년도 1학기 파견

Submitted by Editor on 20 December 2024

 

I. 교환 프로그램 참가 동기

평소 독어교육과 재학생으로서 독일에 한번쯤 방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러던 와중 교환 학생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독일에 거주하며 현지의 문화를 습득할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여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II. 파견대학 및 지역 소개

1. 파견대학/지역 선정 이유

 함부르크 대학교는 한국학과를 보유한 대학으로서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있는 곳입니다. 해당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 현지에 조금 더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해당 대학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함부르크는 독일의 제2도시로서 매우 큰 규모의 인프라를 자랑합니다. 항구도시인 만큼 매우 국제적인 도시이기도 한데, 다양한 곳에서 오는 사람들을 접하면서 조금 더 저의 국제적 역량을 키우고 싶었습니다.

 

 

2. 파견대학/지역 특징

 함부르크 대학교는 건물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지역 일부 전체가 학교라고 있습니다. 수업이 어느 건물에서 열리는지 미리 파악하고 수업에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함부르크는 북쪽에 위치하여 겨울이 편이기 때문에 6월까지도 겉옷을 입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겨울 학기에 파견을 간다면 따뜻한 옷을 많이 구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II. 출국 전 준비 사항

1. 비자 신청 절차

 독일은 한국에서 비자를 받으려면 파견교의 입학허가증, 슈페어콘토, 건강보험 등을 준비해야지만 주한독일대사관에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약 한달 전 풀리는 주한독일대사관의 예약을 잡아야 하는데, 발급 기간이 한달 정도이므로 출국 전까지의 시간을 잘 계산해서 비자 발급을 준비해야 합니다. 만일 한국에서 발급받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90일까지는 독일에서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니 독일에 입국하자마자 해당 지역의 외국인청에 비자 신청 예약을 해야 합니다. 함부르크의 경우에는 Hamburg Welcome Center에서 비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숙소 지원 방법

학생 기숙사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함부르크 대학 측에서 보내 주는 기숙사 지원 문서를 작성합니다. 문서를 전송하고 나면 후에 Hamburg Studierenwerk 쪽에서 기숙사를 선정해 입사확인 문서를 보냅니다. 그렇게 선정된 기숙사는 임의 변경이 불가하니, 따로 사설 기숙사를 구할 것이 아니라면 해당 기숙사에 입사하는 것을 권합니다.

 

3. 파견 대학 지불 비용(student fee, tuition fee, 기숙사 비용 등)

독일의 tuition fee는 학기당 50유로입니다. 그러나 매달 49유로의 값을 하는 대중교통 티켓을 학기 내내 사용할 수 있도록 지급해 줍니다. 기숙사 비용은 대체로 매달 350~420유로 사이입니다.

 

4. 기타 유용한 정보

대학교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 외의 독일 생활 고정 비용으로는, 건강보험 매달 120유로와 독일 라디오세 매달 20유로가 있습니다. 라디오세는 방을 쉐어하는 다른 사람들과 나눠서 지불해도 됩니다.

 

IV. 학업

1. 수강신청 방법

Hamburg 대학의 수강 신청 방법은 교수님께 신청 메일을 보내는 것 입니다. Hamburg Stine 사이트에 들어가 해당 학기의 커리큘럼을 확인하고, 듣고 싶은 과목의 교수님께 메일을 보내 수업을 신청합니다. 그 후에 해당 대학 학과의 관리자에게 교수님의 허락 메일을 전달하여 수업 수강 의사를 밝히면 수강 신청이 완료됩니다. 그러나, 언어교육원에서 열리는 수업은 따로 메일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사이트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만약 학생 수가 오버된다면 추첨을 통해 수강생을 결정합니다.

 

2. 수강과목 설명 및 추천 강의

각 학과의 커리큘럼에 따라 수강 과목이 달라지지만 문과 과목은 영어 강의도 많이 개설되니 독어학을 공부하지 않는다면 영어 과목 수강도 추천드립니다.

 

V. 생활

1. 가져가면 좋은 물품

 평소 자신이 잘 먹는 식재료들 위주로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라면이나 소스류는 보통 아시안 마켓에서 모두 판매하므로, 짐을 줄이기 위해서는 해외에서 구할 수 없는 것들 위주로 가져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함부르크는 독일의 최북단에 위치하여 기후가 추운 편에 속하기 때무에 전기장판 또는 전기담요 등을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독일의 약국에서는 항생제를 의사 처방 없이 판매하지 않으므로 상비약으로 항생제를 처방 받아 오시거나, 한국 시중의 감기약을 넉넉하게 챙겨오는 것을 권합니다.

 

2. 현지 물가 수준

 현지의 외식 비용은 매우 비싼 편에 속합니다. 한 끼의 간단한 식사도 2만원을 웃도는 경우가 많으나, 그에 비해 식재료는 한국에 비해 싼 편에 속합니다. 또한, 채소를 개별로 원하는 만큼 살 수 있어 상할 염려가 적어 요리해 먹는 것이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3. 식사 및 편의시설 (식당, 의료, 은행, 교통, 통신 등)

 독일의 대표적인 은행으로는 Supakasse, Deutsche Bank, Commerz Bank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은행들은 계좌 개설과 유지 시에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다른 인터넷 은행들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 은행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여권, 영상통화 본인인증, 독일 비자 등을 요구합니다.

 독일의 대중교통으로는 대표적으로 트램이 있지만, 함부르크에는 트램이 다니지 않습니다. 대신 지하철인 U-Bahn S-Bahn, 그리고 버스가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편리한 편에 속합니다. 49유로 티켓을 구매하면 독일 전역의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장거리 열차 (ICE, IC)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용 가능한 티켓인데, Hamburg 대학에 등록한다면 학기 중에는 해당 티켓이 제공되니 학기 중에만 계실 예정이라면 미리 구매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4. 학교 및 여가 생활 (동아리, 여행 등)

 함부르크에는 국제 공항이 존재하여 다른 국가로 여행을 떠나기 매우 용이합니다. 독일에 존재하는 공항 중에서는 규모가 꽤 있는 편에 속해 항공편이 다양합니다. 공항까지는 함부르크 중앙역에서 S-Bahn을 타고 약 40분 정도 소요되며, 공항으로 간다고 표시되는 기차의 앞 3칸만 공항까지 연결되니 몇 번째 칸에 탑승하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근교로 기차를 타고 여행할 만한 지역으로는 Lübeck, Schwerin, Kiel 등이 있습니다. 덴마크까지 기차를 타고 5시간이 채 걸리지 않으니 기차 여행도 추천합니다.

 

5. 안전 관련 유의사항

 독일을 비롯한 유럽 지역들은 길거리에 노숙자가 굉장히 많이 보입니다. 동양인에게 함부로 하는 사람들도 존재하니 이들에게 괜히 말을 걸거나 하는 행동은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이들은 독일의 공병 환급 제도인 Pfand통해 돈을 벌기 위해 쓰레기통 앞에서 페트병을 줍습니다.

 함부르크에는 대한민국 영사관이 존재하니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방문이나 연락을 통해 도움을 요청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마치는 소감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국가에서 온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할 기회를 가지게 되어 정말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가능하다면 조금 더 머무르며 교환학기를 연장하고 싶을 만큼 즐거운 생활이었기에, 잊지 못할 기억이 될 것 같습니다.

 

View Count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