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교환 프로그램 참가 동기
해외의 대학 문화를 경험하고자 교환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대학 생활의 반환점을 지나면서 새로운 자극을 얻는 동기부여의 기회로 삼고 싶었습니다.
II. 파견대학 및 지역 소개
- 파견대학/지역 선정 이유
저는 싱가포르로 파견되었는데, 이전에 여행으로 2번 방문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때 싱가포르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양한 문화에 매료되었고, 또한 한국과 가까운 아시아권이면서도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라는 장점을 고려하여 싱가포르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 파견대학/지역 특징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 그리고 서구권 출신들을 비롯한 여러 인종 및 국적의 사람들이 함께 살고 있는 다문화 사회이며, 공식 언어만 4가지입니다. 파견교인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는 이러한 싱가포르의 가장 대표적인 대학답게, 정말 다양한 학생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국립대학이라는 점 등에서 서울대학교와 비슷하다는 생각도 종종 들긴 했으나, 대체적으로 상이한 시스템과 문화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III. 출국 전 준비 사항
- 비자 신청 절차
비자는 미리 ICA 웹페이지를 통해서 신청을 완료하면, 임시로 IPA letter가 발급됩니다. 우선 출국할 때는 이걸 지참하시고, 개강일 전후로 캠퍼스에서 직접 비자(Student’s Pass)를 공식적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숙소 지원 방법
UHMS라는 포털에서 신청 기간에 숙소를 지원했습니다. 확실하진 않으나 아마도 일찍 신청할 수록 옵션이 더 많이 주어지는 것 같습니다. 시설, 위치, 에어컨 설치 여부, 밀 플랜 제공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숙사 건물과 룸 타입을 정하면 됩니다. 학기마다 조금씩 다를 수는 있지만, 제가 갔을 때는 이름에 ‘College’가 들어가는 기숙사에 대체로 현지 학생들이 많이 지내고 ‘Residence’가 들어가는 기숙사에는 유학생, 교환학생들이 많이 지내는 듯했습니다.
- 파견 대학 지불 비용(student fee, tuition fee, 기숙사 비용 등)
기숙사비, 밀 플랜 값, 비자 발급비 정도가 추가로 들었던 것 같습니다.
- 기타 유용한 정보
NUS 학교 안에 FRANK by OCBC라는 은행 지점이 있는데, 현지 계좌 및 체크카드 발급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캠퍼스 내에서도 모바일 페이 같은 것은 현지 계좌가 있어야 가능한 경우가 종종 있는데, 상세 조건들을 잘 알아보시고 미리 발급하시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IV. 학업
- 수강신청 방법
NUS에서 보내주는 메일을 참고하여 수강신청 기간에 듣고 싶은 강의를 여러 개 입력해두면 추후에 시간표를 자동으로 배정해서 알려줍니다. 개강 이후 수강 변경 기간에 수업을 추가로 신청하거나 드랍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유용한 정보
NUS MODS 사이트와 Canvas 사이트를 참고하셔서 syllabus를 확인하면 좋습니다. 시험이 있는지, 팀플이 있는지, 비대면 수업이 있는지, 튜토리얼이 얼마나 자주 있는지 등등을 숙지하고 시간표를 짜는 것을 추천합니다.
V. 생활
- 현지 물가 수준
물가가 높기로 유명한 나라인만큼 생활비가 적지 않게 든 것 같습니다. 특히 (호커센터에서 싸게 먹으면 $10 이하로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외식을 하면 인당 $20 정도는 나오는 것 같았습니다. 다만 통신비나 교통비는 비교적 괜찮았던 것으로 기억을 합니다.
- 식사 및 편의시설 (식당, 의료, 은행, 교통, 통신 등)
저는 공항에 도착한 날, 짐 찾고 나가는 쪽에 바로 있는 공항 내부 Singtel 대리점에서 USIM 카드와 교통카드(NETS)를 바로 구매했습니다. USIM은 미리 나에게 맞는 플랜을 정해서 Singtel 사이트를 통해 공항 픽업 예약해두면 당일에 찾을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병원을 한 번 가면 비용이 꽤 많이 나오는 곳이므로 장기 여행자보험을 꼭 들어두는 게 좋습니다. (동네 안과 진료만 봤는데 25만 원 넘게 냈습니다…) 심지어 학교 내에 있는 UHC 병원에서도 학교보험 처리를 안 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따로 여행자보험을 들기 바랍니다.
- 학교 및 여가 생활 (동아리, 여행 등)
학교 행사 및 기숙사 행사(장기자랑, 체육대회 등)가 굉장히 많아서 열심히 참여만 한다면 많은 것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저는 한국 문화를 좋아하는 현지 학생들이 모여 있는 KCIG 동아리 행사를 몇 번 가봤는데 흥미로웠습니다. 여행은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으로 쉽게 떠날 수 있습니다. 특히 시험 전 주, Recess week와 wellness 주간에는 수업이 없어서 학기 중에도 여행을 갈 기회가 종종 있습니다.
- 기타 유용한 정보
좀 뜬금없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팝스타들의 콘서트가 상당히 자주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있는 동안만 해도 콜드플레이, 에드 시런, 테일러 스위프트, 브루노 마스가 왔었고, 한국 가수들로는 엔하이픈, 아이브, 아이유가 왔었습니다. 이런 것들도 싱가포르에서 쌓을 수 있는 특별한 경험들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Ⅵ.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마치는 소감
싱가포르와 NUS는 제가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배울 점이 많은 곳이었습니다. 처음에 목표했던 바처럼, 견문을 넓히는 데에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싱가포르에서 보낸 약 4개월 간의 추억, 그리고 이곳에서 만난 인연, 얻게 된 깨달음은 아마도 평생 남을 것 같습니다.